학사안내

편성교과목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1/1학기 전선 4392991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991
  • 교과목명 :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진로탐색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진로목표를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exploration and dream-design is a course that proceeds with consideration and exploration of career in my chosen major.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majors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and finding, setting and preparing career goal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진로탐색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진로목표를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exploration and dream-design is a course that proceeds with consideration and exploration of career in my chosen major.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majors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and finding, setting and preparing career goals.

닫기
2/1학기 전선 4392143
인간생명과학 (Human Life Science)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43
  • 교과목명 : 인간생명과학 (Human Life Scie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인간생명과학은 의생명과학분야의 학업을 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인체의 기능에 대하여 정확히 알아야 하는 것으로 이에 상응하는 내용을 강의하고자 한다.

    • English

      Human life proceeds through different stages. It starts with birth and ends with old age. The different stages of life ar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인간생명과학은 의생명과학분야의 학업을 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인체의 기능에 대하여 정확히 알아야 하는 것으로 이에 상응하는 내용을 강의하고자 한다.

  • English

    Human life proceeds through different stages. It starts with birth and ends with old age. The different stages of life are:

닫기
2/1학기 전선 4392154
물리약학 (Physical Pharmacy)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54
  • 교과목명 : 물리약학 (Physical Pharmac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물리약학은 제약소재의 유효약리성분이 생체에서 약리 효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제형으로부터 방출되는 양을 제어하면서 생체부위에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제제 공학의 이론과 설계 디자인에 필요한 지식을 배양하고자 함. 약물전달시스템 학문을 통하여 제형의 설계와 제조등에 필요한 공정이론 : 물질의 상태, 열역학, 분자의 물리적 성질 결정, 비전해질, 전기분해 용해, 이온평행, 기전력과 산화-환원, 확산 등을 습득하고 관련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In the physics pharmacy class, the effective pharmacological ingredients of pharmaceutical materials are intended to cultivate the knowledge required for the theory and design of formulation engineering that can deliver drugs to the living body while controlling the amount released from the formulation. Process theory necessary for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formulations through the study of drug delivery systems: acquisition of state of matter, thermodynamics, determination of molecular physical properties, non-electrolyte, electrolysis dissolution, ion parallelism, electromotive force and oxidation-reduction, diffusion, etc.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물리약학은 제약소재의 유효약리성분이 생체에서 약리 효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제형으로부터 방출되는 양을 제어하면서 생체부위에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제제 공학의 이론과 설계 디자인에 필요한 지식을 배양하고자 함. 약물전달시스템 학문을 통하여 제형의 설계와 제조등에 필요한 공정이론 : 물질의 상태, 열역학, 분자의 물리적 성질 결정, 비전해질, 전기분해 용해, 이온평행, 기전력과 산화-환원, 확산 등을 습득하고 관련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In the physics pharmacy class, the effective pharmacological ingredients of pharmaceutical materials are intended to cultivate the knowledge required for the theory and design of formulation engineering that can deliver drugs to the living body while controlling the amount released from the formulation. Process theory necessary for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formulations through the study of drug delivery systems: acquisition of state of matter, thermodynamics, determination of molecular physical properties, non-electrolyte, electrolysis dissolution, ion parallelism, electromotive force and oxidation-reduction, diffusion, etc.

닫기
2/1학기 전선 4392175
생화학 (Biochemistry)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75
  • 교과목명 : 생화학 (Biochemist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명현상을 조절하는 생체내 구조와 물질의 기능, 물질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이해하고, 생명현상을 조절하는 생체내 구조와 물질의 기능, 이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관련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Living things from bacteria to complex organisms have a common feature. They all have universal molocules, biomolecules. Biochemistry studies the chemical and physic interactions among biomolecul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생명현상을 조절하는 생체내 구조와 물질의 기능, 물질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이해하고, 생명현상을 조절하는 생체내 구조와 물질의 기능, 이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관련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Living things from bacteria to complex organisms have a common feature. They all have universal molocules, biomolecules. Biochemistry studies the chemical and physic interactions among biomolecules.

닫기
2/1학기 전선 4392189
화장품학개론 (Introduction to Cosmetic Science)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89
  • 교과목명 : 화장품학개론 (Introduction to Cosmetic Scie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피부에 대한 기초지식을 이해하고 향장산업의 핵심소재인 화장품의 유래와 역사를 이해하고자 한다. 천연 및 합성소재의 생산 및 제품제조에 관한 이론과 실제기술을 학습하여 국내외 향장산업의 최신동향과 미래발전상을 조망하고 산업현장에서의 실무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함.

    • English

      Understand the basic knowledge of skin, understand the origin and history of cosmetics, the core material of the cosmetic industry, and learn the theory and practical techniques related to the production and manufacture of natural and synthetic material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피부에 대한 기초지식을 이해하고 향장산업의 핵심소재인 화장품의 유래와 역사를 이해하고자 한다. 천연 및 합성소재의 생산 및 제품제조에 관한 이론과 실제기술을 학습하여 국내외 향장산업의 최신동향과 미래발전상을 조망하고 산업현장에서의 실무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함.

  • English

    Understand the basic knowledge of skin, understand the origin and history of cosmetics, the core material of the cosmetic industry, and learn the theory and practical techniques related to the production and manufacture of natural and synthetic materials.

닫기
2/1학기 전필 4392191
유기화학1 (Organic Chemistry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92191
  • 교과목명 : 유기화학1 (Organic Chemist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유기화학1은 탄소를 포함한 화합물의 화학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살아있는 유기체를 구성하는 유기 화합물의 구조, 작용기의 특징, 입체 화학 및 반응 메커니즘 등에 관해서 배우고, 이를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Organic chemistry 1 is the chemistry of carbon compounds. Students learn the fundamentals of the chemical structure of organic compounds constituting living organisms, the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groups, stereochemistry and organic reaction mechanism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유기화학1은 탄소를 포함한 화합물의 화학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살아있는 유기체를 구성하는 유기 화합물의 구조, 작용기의 특징, 입체 화학 및 반응 메커니즘 등에 관해서 배우고, 이를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Organic chemistry 1 is the chemistry of carbon compounds. Students learn the fundamentals of the chemical structure of organic compounds constituting living organisms, the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groups, stereochemistry and organic reaction mechanisms.

닫기
2/1학기 전선 4392204
제약산업의이해 (Introduction to Pharmaceutical Industry)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204
  • 교과목명 : 제약산업의이해 (Introduction to Pharmaceutical Indust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의는 심화된 전공교과목을 학습하기에 앞서 제약산업의 전체적인 맥락과 흐름을 간결하게 다루기 위한 과정이다. 제약공학은 공학과 약학의 융합을 통해 만들어진 분야이다. 따라서, 본 강좌에서는 약학의 기초개념과 함께 의약품 개발과정에 대한 여러 가지 핵심적인 개념들을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English

      This lecture is a course to concisely deal with the overall context and flow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prior to learning the advanced major courses. Pharmaceutical engineering is a field created through the fusion of engineering and pharmacy. Therefore, this course will focus on various key concepts for the drug development proces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의는 심화된 전공교과목을 학습하기에 앞서 제약산업의 전체적인 맥락과 흐름을 간결하게 다루기 위한 과정이다. 제약공학은 공학과 약학의 융합을 통해 만들어진 분야이다. 따라서, 본 강좌에서는 약학의 기초개념과 함께 의약품 개발과정에 대한 여러 가지 핵심적인 개념들을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English

    This lecture is a course to concisely deal with the overall context and flow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prior to learning the advanced major courses. Pharmaceutical engineering is a field created through the fusion of engineering and pharmacy. Therefore, this course will focus on various key concepts for the drug development process.

닫기
2/2학기 전선 4392176
유전학 (Genetic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76
  • 교과목명 : 유전학 (Genet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유전학은 생물의 형질발현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과학으로 유전자의 이동방식, 변화성, 소재, 물질적기초, 외계와의 관계등을 연구한다. 유전과 변이에 대한 연구는 19세기 중엽의 멘델 이전부터 주목되어왔다. 멘델의 법칙은 그후 동물과 사람에게도 적용되는 보편적인 법칙임이 밝혀졌고 이후 염색체와 유전자와의 관계를밝혔다. 형질전환 및 DNA등 유전학에 대하여 상세히 알아본다.

    • English

      Genetics is a course designed for Bio-health technology majors and is part of the core curriculum that all biology or biotechnology majors who are working towards a Bachelor of Science must complete. The objective of the course is to introduce the principles of molecular genetic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유전학은 생물의 형질발현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과학으로 유전자의 이동방식, 변화성, 소재, 물질적기초, 외계와의 관계등을 연구한다. 유전과 변이에 대한 연구는 19세기 중엽의 멘델 이전부터 주목되어왔다. 멘델의 법칙은 그후 동물과 사람에게도 적용되는 보편적인 법칙임이 밝혀졌고 이후 염색체와 유전자와의 관계를밝혔다. 형질전환 및 DNA등 유전학에 대하여 상세히 알아본다.

  • English

    Genetics is a course designed for Bio-health technology majors and is part of the core curriculum that all biology or biotechnology majors who are working towards a Bachelor of Science must complete. The objective of the course is to introduce the principles of molecular genetics.

닫기
2/2학기 전선 4392177
세포생물학 (Cell Biolog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77
  • 교과목명 : 세포생물학 (Cell Bi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세포생물학은 생명현상을 나타내는 최소단위인 세포의 구조와 그 기능을 이해함을 목표로 한다. 생명과학연구의 큰주제를 다루고있으며, 생명과학의 모든 분야와 연계되어있다. 따라서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 는생명 의료 및 생물학 기술과 이슈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포생물학 지식을 습득할 필요가 있다. 본 수업에서는 세포생물학의 핵심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세포의 생명활동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설명하고 또한 세포의 구조 및 세포의 구성성분 그리고 이들 성분들의 상호작용하여 세포내에서 어떠한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지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Cell is confined by a cell membrane, which sequesers proteins, lipids, carbohydrates and microorganelles inside the cell. Cell biology studies the synthesis and transport of the marcomolecules, mainly proteins and RNA. Cell biology also deals on the transport and mode of action of small molocules, such as ions and hormon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세포생물학은 생명현상을 나타내는 최소단위인 세포의 구조와 그 기능을 이해함을 목표로 한다. 생명과학연구의 큰주제를 다루고있으며, 생명과학의 모든 분야와 연계되어있다. 따라서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 는생명 의료 및 생물학 기술과 이슈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포생물학 지식을 습득할 필요가 있다. 본 수업에서는 세포생물학의 핵심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세포의 생명활동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설명하고 또한 세포의 구조 및 세포의 구성성분 그리고 이들 성분들의 상호작용하여 세포내에서 어떠한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지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Cell is confined by a cell membrane, which sequesers proteins, lipids, carbohydrates and microorganelles inside the cell. Cell biology studies the synthesis and transport of the marcomolecules, mainly proteins and RNA. Cell biology also deals on the transport and mode of action of small molocules, such as ions and hormones.

닫기
2/2학기 전선 4392203
유기화학2 (Organic Chemistry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203
  • 교과목명 : 유기화학2 (Organic Chemist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유기화학2는 탄소를 포함한 화합물의 화학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살아있는 유기체를 구성하는 유기 화합물의 구조, 작용기의 특징, 입체 화학 및 반응 메커니즘 등에 관해서 배우고, 이를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Organic chemistry 2 is the chemistry of carbon compounds. Students learn the fundamentals of the chemical structure of organic compounds constituting living organisms, the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groups, stereochemistry and organic reaction mechanism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유기화학2는 탄소를 포함한 화합물의 화학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살아있는 유기체를 구성하는 유기 화합물의 구조, 작용기의 특징, 입체 화학 및 반응 메커니즘 등에 관해서 배우고, 이를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Organic chemistry 2 is the chemistry of carbon compounds. Students learn the fundamentals of the chemical structure of organic compounds constituting living organisms, the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groups, stereochemistry and organic reaction mechanisms.

닫기
2/2학기 전선 4392211
의약통계학개론 (Introduction to Pharmaceutical Statistic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211
  • 교과목명 : 의약통계학개론 (Introduction to Pharmaceutical Statist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의약통계학개론은 의약학과 통계학을 결합한 학문으로, 생물학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적 분석을 통해 생물학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사용됨. 이 과목은 학생들이 데이터 수집, 정리, 통계 분석, 가설 검정, 회귀 분석 및 확률 분포와 같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어 제약 및 신약개발 산업체에서 실제 쓰이는 통계방법 (t-test, one way anova, two way anova 등)의 개념을 이해하고, 약물 및 제약 실험에서 사용하는 통계분석 및 의약, 약학과학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실험 결과의 해석과 통계를 통한 데이터 분석능력을 향상시켜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로 양성하고자 함을 목표로 함.

    • English

      Introduction to Pharmaceutical Statistics is a discipline that combines medicine and statistics, used to collect biological data and understand biological phenomena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his subject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tatistical methods (t-test, one way anova, two way anova, etc.) used in pharmaceutical and new drug development industries by covering various topics such as data collection, organization, statistical analysis, hypothesis testing, regression analysis, and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to enable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of statistical analysis, medicine, and pharmaceutical science used in drug and pharmaceutical experiments. It aims to cultivate practical talents by improving the ability to analyze data through interpretation and statistics of experimental result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의약통계학개론은 의약학과 통계학을 결합한 학문으로, 생물학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적 분석을 통해 생물학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사용됨. 이 과목은 학생들이 데이터 수집, 정리, 통계 분석, 가설 검정, 회귀 분석 및 확률 분포와 같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어 제약 및 신약개발 산업체에서 실제 쓰이는 통계방법 (t-test, one way anova, two way anova 등)의 개념을 이해하고, 약물 및 제약 실험에서 사용하는 통계분석 및 의약, 약학과학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실험 결과의 해석과 통계를 통한 데이터 분석능력을 향상시켜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로 양성하고자 함을 목표로 함.

  • English

    Introduction to Pharmaceutical Statistics is a discipline that combines medicine and statistics, used to collect biological data and understand biological phenomena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his subject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tatistical methods (t-test, one way anova, two way anova, etc.) used in pharmaceutical and new drug development industries by covering various topics such as data collection, organization, statistical analysis, hypothesis testing, regression analysis, and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to enable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of statistical analysis, medicine, and pharmaceutical science used in drug and pharmaceutical experiments. It aims to cultivate practical talents by improving the ability to analyze data through interpretation and statistics of experimental results.

닫기
2/2학기 전선 4392214
약전 (Drug Pharmacopoeia)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214
  • 교과목명 : 약전 (Drug Pharmacopoeia)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약전은 의약품 제조 및 평가를 위한 의약품 정보, 기준과 시험방법 등을 제시해 놓은 매우 중요한 자료임. 따라서, 약전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은 좋은 의약품을 개발하고 제조하는 기본이 됨. 본 강의에서는 약전의 구성, 통칙, 제제총칙, 각조에 대한 사항을 이해하고, 일반시험법에서 다루는 주요한 품질관리 기법들에 대해 다룰 계획임

    • English

      Pharmacopoeia is a important regulation that clearly presents drug information, standards, and test methods for drug manufacturing and evaluation. Therefore,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pharmacopoeia becomes the basis for developing and manufacturing drug products. In this lecture, we plan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general rules, general rules of formulation, and each article of drugs in the pharmacopoeia, and also deal with the main quality control techniques covered in the general test method.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약전은 의약품 제조 및 평가를 위한 의약품 정보, 기준과 시험방법 등을 제시해 놓은 매우 중요한 자료임. 따라서, 약전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은 좋은 의약품을 개발하고 제조하는 기본이 됨. 본 강의에서는 약전의 구성, 통칙, 제제총칙, 각조에 대한 사항을 이해하고, 일반시험법에서 다루는 주요한 품질관리 기법들에 대해 다룰 계획임

  • English

    Pharmacopoeia is a important regulation that clearly presents drug information, standards, and test methods for drug manufacturing and evaluation. Therefore,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pharmacopoeia becomes the basis for developing and manufacturing drug products. In this lecture, we plan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general rules, general rules of formulation, and each article of drugs in the pharmacopoeia, and also deal with the main quality control techniques covered in the general test method.

닫기
2/2학기 전선 4392215
의약품분석학 (Pharmaceutical Analysi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215
  • 교과목명 : 의약품분석학 (Pharmaceutical Analysi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의약품 분석학에서는 의약품 품질 검사를 위한 용액의 특성과 고전적인 화학반응의 기본적 이론, 응용분야인 적정분석 방법에 관해 학습한다.

    • English

      Pharmaceutical analysis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solutions, classical chemical reaction theory, and titration analysis methods to test pharmaceutical qualit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의약품 분석학에서는 의약품 품질 검사를 위한 용액의 특성과 고전적인 화학반응의 기본적 이론, 응용분야인 적정분석 방법에 관해 학습한다.

  • English

    Pharmaceutical analysis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solutions, classical chemical reaction theory, and titration analysis methods to test pharmaceutical quality.

닫기
3/1학기 전선 4392178
분자생물학 (Molecular Biology)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78
  • 교과목명 : 분자생물학 (Molecular Bi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분자생물학 이론에 대하여 이해하는데 목표가 있다. 분자의 구성 및 구조와 이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학습하고(핵산 또는 단백질 등) 분자적, 세포적, 단백질, 생물정보학, 바이러스학, 면역학 등 다양한 측면을 학습한다. 이를 통하여 분자생물학적인 연구 논문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Molecular Biology is the field of biology that studies the composition, structure and interactions of cellular molecules ? such as nucleic acids and proteins ? that carry out the biological processes essential for the cell's functions and maintenance. Molecular Biology is an international peer reviewed journal that covers a wide scope of problems in molecular, cell and computational biology including genomics, proteomics, bioinformatics, molecular virology and immunology, molecular development biology, molecular evolution and related areals. Molecular Biology publishes reviews,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works. Every year, the journal publishes special issues devoted to most rapidly developing branches of physical-chemical biology and to the most outstanding scientist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분자생물학 이론에 대하여 이해하는데 목표가 있다. 분자의 구성 및 구조와 이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학습하고(핵산 또는 단백질 등) 분자적, 세포적, 단백질, 생물정보학, 바이러스학, 면역학 등 다양한 측면을 학습한다. 이를 통하여 분자생물학적인 연구 논문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Molecular Biology is the field of biology that studies the composition, structure and interactions of cellular molecules ? such as nucleic acids and proteins ? that carry out the biological processes essential for the cell's functions and maintenance. Molecular Biology is an international peer reviewed journal that covers a wide scope of problems in molecular, cell and computational biology including genomics, proteomics, bioinformatics, molecular virology and immunology, molecular development biology, molecular evolution and related areals. Molecular Biology publishes reviews,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works. Every year, the journal publishes special issues devoted to most rapidly developing branches of physical-chemical biology and to the most outstanding scientists.

닫기
3/1학기 전선 4392183
생명건강종합설계 (Bio-health Capstone Design)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83
  • 교과목명 : 생명건강종합설계 (Bio-health Capstone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학생들은 생명건강공학 분야 관련된 최근 특허 와 논문을 읽고 관련된 실험설계를 해서 결과를 얻는 전과정을 체험하고, 관련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English

      Students will read the latest patents and papers related to the biomedical engineering field and experience the full process of obtaining results through relevant laboratory experiments.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학생들은 생명건강공학 분야 관련된 최근 특허 와 논문을 읽고 관련된 실험설계를 해서 결과를 얻는 전과정을 체험하고, 관련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English

    Students will read the latest patents and papers related to the biomedical engineering field and experience the full process of obtaining results through relevant laboratory experiments.

닫기
3/1학기 전선 4392193
제제공학1 (Pharmaceutical Engineering 1)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93
  • 교과목명 : 제제공학1 (Pharmaceutical Engineering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에서는 효능을 가진 원료물질을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최종 제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것이다. 학생들은 주로 단위조작, 품질관리 그리고 최근 연구 경향에 대해 학습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여러 가지 제형들, 의약품 개발과정 그리고 고형제제에 대해 주로 학습할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is about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final products that can administer raw materials with efficacy to patients. Students will learn about unit operation, quality management and the latest research trend. In addition, we will mainly study about various dosage forms, drug development process, and solid dosage form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에서는 효능을 가진 원료물질을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최종 제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것이다. 학생들은 주로 단위조작, 품질관리 그리고 최근 연구 경향에 대해 학습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여러 가지 제형들, 의약품 개발과정 그리고 고형제제에 대해 주로 학습할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is about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final products that can administer raw materials with efficacy to patients. Students will learn about unit operation, quality management and the latest research trend. In addition, we will mainly study about various dosage forms, drug development process, and solid dosage forms.

닫기
3/1학기 전선 4392194
약물유전체학 (Pharmacogenomic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94
  • 교과목명 : 약물유전체학 (Pharmacogenom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약물유전체학은 최근 인간게놈 프로젝트의 완성과 함께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분야이다. 흔히 SNP라고 불리는 단일염기다형성의 연구가 주요한 약물유전학연구의 내용이지만 약물유전체학은 약물에 의해 변화되어 지는 모든 유전자 발현의 차이와 이를 이용한 맞춤 의학 실현과 신약개발이 주요한 내용이다. 약물유전체학의 발전과 더불어 우리는 머지않은 미래에 약물효과를 예측하는 약물치료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믿으며 의학연구에 신기원을 이룰 것으로 생각한다.

    • English

      Pharmacogenomics is an emerging area with the recent completion of the Human Genome Project. The study of monobasic polymorphism, commonly referred to as SNP, is the main pharmacogenetic research. However, pharmacogenomics is the difference between all gene expressions that are changed by drugs, the realization of customized medicine and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With the development of pharmacogenomics, we believe that drug treatments that predict the effects of drugs will be possible in the near future and will set a new era in medical research.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약물유전체학은 최근 인간게놈 프로젝트의 완성과 함께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분야이다. 흔히 SNP라고 불리는 단일염기다형성의 연구가 주요한 약물유전학연구의 내용이지만 약물유전체학은 약물에 의해 변화되어 지는 모든 유전자 발현의 차이와 이를 이용한 맞춤 의학 실현과 신약개발이 주요한 내용이다. 약물유전체학의 발전과 더불어 우리는 머지않은 미래에 약물효과를 예측하는 약물치료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믿으며 의학연구에 신기원을 이룰 것으로 생각한다.

  • English

    Pharmacogenomics is an emerging area with the recent completion of the Human Genome Project. The study of monobasic polymorphism, commonly referred to as SNP, is the main pharmacogenetic research. However, pharmacogenomics is the difference between all gene expressions that are changed by drugs, the realization of customized medicine and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With the development of pharmacogenomics, we believe that drug treatments that predict the effects of drugs will be possible in the near future and will set a new era in medical research.

닫기
3/1학기 전선 4392206
유기구조분석화학 (Organic Structural Analysi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206
  • 교과목명 : 유기구조분석화학 (Organic Structural Analysi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유기화합물의 화학구조를 규명하기 위한 분자 분광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물질과 에너지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얻어지는 분자 스펙트라의 해석을 통해 화학구조를 분석해내는 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molecular spectroscopy to investigate the chemical structure of organic compounds and cultivate the ability to analyze the chemical structure through the analysis of molecular spectra obtain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substances and energ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유기화합물의 화학구조를 규명하기 위한 분자 분광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물질과 에너지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얻어지는 분자 스펙트라의 해석을 통해 화학구조를 분석해내는 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molecular spectroscopy to investigate the chemical structure of organic compounds and cultivate the ability to analyze the chemical structure through the analysis of molecular spectra obtain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substances and energy.

닫기
3/1학기 전선 4392216
의약품체내동태학 (Drug Pharmacokinetic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216
  • 교과목명 : 의약품체내동태학 (Drug Pharmacokinet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의약품체내동태학은 체내에 투여된 약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흡수(Absorption), 분포(Distribution), 대사(Metabolism) 및 배설(Excretion) 과정을 수학적인 계산을 통해 정량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분야이다. 약효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는 농도(용량)에서 관심있는 생리활성물질의 노출부터 배설까지의 동태를 평가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이 분야의 목적이 된다. 혈중, 조직, 뇨, 분변 등에서 약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PK Parameter를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임상적 투여용량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한 방법론이다.

    • English

      Drug Pharmacokinetics is a field that attempts to quantitatively understand the process of 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and excretion of drugs administered to the body over time through mathematical calculations. The purpose of this field is to evaluate and understand the dynamics from exposure to excretion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t the concentration (dose) expected to show drug effects. The main methodology is to calculate the PK parameters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drugs in blood, tissue, urine, and feces, and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setting the clinical dose based on thi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의약품체내동태학은 체내에 투여된 약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흡수(Absorption), 분포(Distribution), 대사(Metabolism) 및 배설(Excretion) 과정을 수학적인 계산을 통해 정량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분야이다. 약효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는 농도(용량)에서 관심있는 생리활성물질의 노출부터 배설까지의 동태를 평가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이 분야의 목적이 된다. 혈중, 조직, 뇨, 분변 등에서 약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PK Parameter를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임상적 투여용량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한 방법론이다.

  • English

    Drug Pharmacokinetics is a field that attempts to quantitatively understand the process of 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and excretion of drugs administered to the body over time through mathematical calculations. The purpose of this field is to evaluate and understand the dynamics from exposure to excretion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t the concentration (dose) expected to show drug effects. The main methodology is to calculate the PK parameters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drugs in blood, tissue, urine, and feces, and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setting the clinical dose based on this.

닫기
3/2학기 전선 4392160
기기분석및실험 (Instrumental Analysis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60
  • 교과목명 : 기기분석및실험 (Instrumental Analysis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화학분석의 기본개념과 물질분리에 기초가되는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 등을 다룬다. 의약품의 정성, 정량 분석에 널리 이용되는 대표적인 분석기기인 HPLC, GC, Mass 등의 이론 및 구성 등에 대해 학습하고 실습을 통해 기기 작동법 등을 배워 관련 분야 실무 능력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the basic concepts of chemical analysis and the principles of chromatography, which is the basis for the separation of organic compounds. Students learn the theory and composition of HPLC, GC, Mass, etc., which are widely used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drugs, and learn how to operate the equipment through hands-on practice.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화학분석의 기본개념과 물질분리에 기초가되는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 등을 다룬다. 의약품의 정성, 정량 분석에 널리 이용되는 대표적인 분석기기인 HPLC, GC, Mass 등의 이론 및 구성 등에 대해 학습하고 실습을 통해 기기 작동법 등을 배워 관련 분야 실무 능력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the basic concepts of chemical analysis and the principles of chromatography, which is the basis for the separation of organic compounds. Students learn the theory and composition of HPLC, GC, Mass, etc., which are widely used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drugs, and learn how to operate the equipment through hands-on practice.

닫기
3/2학기 전선 4392161
생물공학 (Biological Engineering)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61
  • 교과목명 : 생물공학 (Biological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물공학은 새로운 시대에 맞이하는 다양한 산업군에서 바이오와 관련된 산업의 기술력을 토대로 새로운 산업군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이윤을 창출하는 분야에 대한 소개를 통하여 바이오와 관련된 기술들의 응용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Biological sciences is the study of life and living organisms, their life cycles, adaptations and environment. There are many different areas of study under the umbrella of biological sciences including biochemistry, microbiology and evolutionary biology. A course in biological sciences will combine practical and theory work with a mixture of lectures, seminars and lab work. Those who choose to study the biological sciences can expect to expand their knowledge of cell theory, evolution, genetics, energy and homeostasi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생물공학은 새로운 시대에 맞이하는 다양한 산업군에서 바이오와 관련된 산업의 기술력을 토대로 새로운 산업군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이윤을 창출하는 분야에 대한 소개를 통하여 바이오와 관련된 기술들의 응용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Biological sciences is the study of life and living organisms, their life cycles, adaptations and environment. There are many different areas of study under the umbrella of biological sciences including biochemistry, microbiology and evolutionary biology. A course in biological sciences will combine practical and theory work with a mixture of lectures, seminars and lab work. Those who choose to study the biological sciences can expect to expand their knowledge of cell theory, evolution, genetics, energy and homeostasis.

닫기
3/2학기 전선 4392181
생리학 (Physiolog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81
  • 교과목명 : 생리학 (Physi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리학은 생물체의 기능을 연구하는 과학의 한 분야이다. 생리학의 연구 주제는 항상성, 운동, 병태생리학, 신체기능의 세포 및 분자적 메커니즘에 대한 학습을 한다.생리학에서는 주로 생물을 기관과 기관계 수준에서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English

      Physiology is a branch of science that studies the function of living organisms. The research topics in physiology include homeostasis, exercise, pathophysiology, and the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of body func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생리학은 생물체의 기능을 연구하는 과학의 한 분야이다. 생리학의 연구 주제는 항상성, 운동, 병태생리학, 신체기능의 세포 및 분자적 메커니즘에 대한 학습을 한다.생리학에서는 주로 생물을 기관과 기관계 수준에서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English

    Physiology is a branch of science that studies the function of living organisms. The research topics in physiology include homeostasis, exercise, pathophysiology, and the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of body function.

닫기
3/2학기 전선 4392196
의약용곤충자원학 (Medical and Medicinal Insect Resources)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96
  • 교과목명 : 의약용곤충자원학 (Medical and Medicinal Insect Resource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의약용곤충자원학은 의용과 약용으로 이용되는 곤충과 곤충유래 물질, 동물자원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학습하고자 하며, 이를 관련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Medical and medicinal Insect Resources studies the medical and medicinal use of insects. This course also teaches harmful insects to huma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의약용곤충자원학은 의용과 약용으로 이용되는 곤충과 곤충유래 물질, 동물자원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학습하고자 하며, 이를 관련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Medical and medicinal Insect Resources studies the medical and medicinal use of insects. This course also teaches harmful insects to human.

닫기
3/2학기 전선 4392197
바이오창업이론과실제 (Bio Start-up Theory and Practicalit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97
  • 교과목명 : 바이오창업이론과실제 (Bio Start-up Theory and Practicalit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바이오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바이오의약을 중심으로 주요 제품분야별 사업화 및 제품개발에 필요한 실무적인 지식과 문제해결 능력 습득을 목표로 함. 특히, 바이오분야의 사업화와 관련하여 사업계획서 작성 및 제품개발계획서 작성법과 같이 바이오비지니스를 위한 정보자료의 수집, 분석을 통한 사업화 추진 실무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acquire practical knowledge and problem-solving skills necessary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major product areas and product development with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bio industry and bio medicine. In particular, it is to acquire practical skills for commercialization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informational data for biobusiness, such as the business plan preparation and product development plan preparation method related to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bio-industry fiel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바이오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바이오의약을 중심으로 주요 제품분야별 사업화 및 제품개발에 필요한 실무적인 지식과 문제해결 능력 습득을 목표로 함. 특히, 바이오분야의 사업화와 관련하여 사업계획서 작성 및 제품개발계획서 작성법과 같이 바이오비지니스를 위한 정보자료의 수집, 분석을 통한 사업화 추진 실무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acquire practical knowledge and problem-solving skills necessary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major product areas and product development with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bio industry and bio medicine. In particular, it is to acquire practical skills for commercialization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informational data for biobusiness, such as the business plan preparation and product development plan preparation method related to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bio-industry field.

닫기
3/2학기 전선 4392205
제제공학2 (Pharmaceutical Engineering 2)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205
  • 교과목명 : 제제공학2 (Pharmaceutical Engineering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에서는 효능을 가진 원료물질을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최종 제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것이다. 학생들은 주로 단위조작, 품질관리 그리고 최근 연구 경향에 대해 학습할 것이다. 제제공학2에서는 여러 가지 제형들 중에서 주로 분산제제, 반고형제제, 멸균제제 등에 대해 다룰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is about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final products for administering effective raw materials to patients. Students will learn about unit operation, quality management and the latest research trend. Formulation Engineering 2 will mainly deal with solution, semi-solid and injection formulations among various formulatio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에서는 효능을 가진 원료물질을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최종 제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것이다. 학생들은 주로 단위조작, 품질관리 그리고 최근 연구 경향에 대해 학습할 것이다. 제제공학2에서는 여러 가지 제형들 중에서 주로 분산제제, 반고형제제, 멸균제제 등에 대해 다룰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is about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final products for administering effective raw materials to patients. Students will learn about unit operation, quality management and the latest research trend. Formulation Engineering 2 will mainly deal with solution, semi-solid and injection formulations among various formulations.

닫기
3/2학기 전선 4392209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209
  • 교과목명 :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4/1학기 전선 4392165
대사생화학 (Metabolism Biochemistr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65
  • 교과목명 : 대사생화학 (Metabolism Biochemist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대사생화학은 생화학을 바탕으로 이수하고 실험적으로 얻어진 생명현상의 본체를 이론적으로 체계화시킨 학문이다. 세포수준 및 단위체수준에서 일어나는 물질의 합성 및 분해, 에너지생성 및 다세포생물에서의 항상성의 유지에 관련한 대사경로를 익히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Metabolism is composed of anabolism and catabolism. In this course, we study some important organ's metabolism of human. We also study metabolism of several cases of diseases, such as diabet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대사생화학은 생화학을 바탕으로 이수하고 실험적으로 얻어진 생명현상의 본체를 이론적으로 체계화시킨 학문이다. 세포수준 및 단위체수준에서 일어나는 물질의 합성 및 분해, 에너지생성 및 다세포생물에서의 항상성의 유지에 관련한 대사경로를 익히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Metabolism is composed of anabolism and catabolism. In this course, we study some important organ's metabolism of human. We also study metabolism of several cases of diseases, such as diabets.

닫기
4/1학기 전선 4392180
의약화학 (Medicinal Chemistr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80
  • 교과목명 : 의약화학 (Medicinal Chemist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분자모델링을 통한 생리활성물질의 설계, 약물의 합성, 구조-활성 상관관계 분석 등의 융합적 지식을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Medicinal chemistry is the study of convergence knowledge such as the design of bioactive small molecules through molecular modeling, organic synthesis,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AR) analysi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분자모델링을 통한 생리활성물질의 설계, 약물의 합성, 구조-활성 상관관계 분석 등의 융합적 지식을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Medicinal chemistry is the study of convergence knowledge such as the design of bioactive small molecules through molecular modeling, organic synthesis,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AR) analysis.

닫기
4/1학기 전선 4392198
제약산업분석 (Pharmaceutical Industry Analysis)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98
  • 교과목명 : 제약산업분석 (Pharmaceutical Industry Analysi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제약 산업의 탄생, 성장, 발전, 제품, 연구개발, 기술혁신 등에 대한 강의 및 현장 방문을 통해 제약 산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취업에 대한 도움을 주고 open innovation의 중요성을 통해 기업가 정신을 이해하여 신약개발에 대한 잠재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English

      Developing new drugs by understanding the entrepreneurship through the importance of open innovation by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pharmaceutical industry through lectures and on-site visits on the birth, growth, development, product, R & D,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of pharmaceutical industry. We want to cultivate the potential of students for getting job in phamaceutical compani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제약 산업의 탄생, 성장, 발전, 제품, 연구개발, 기술혁신 등에 대한 강의 및 현장 방문을 통해 제약 산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취업에 대한 도움을 주고 open innovation의 중요성을 통해 기업가 정신을 이해하여 신약개발에 대한 잠재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English

    Developing new drugs by understanding the entrepreneurship through the importance of open innovation by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pharmaceutical industry through lectures and on-site visits on the birth, growth, development, product, R & D,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of pharmaceutical industry. We want to cultivate the potential of students for getting job in phamaceutical companies.

닫기
4/1학기 전선 4392201
제형제조및실험 (Dosage Form Preparation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201
  • 교과목명 : 제형제조및실험 (Dosage Form Preparation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에서는 여러 가지 의약품제형들과 이들의 제조방법에 대해 학습할 것이다. 학생들은 유제, 현탁제, 연고제 그리고 정제의 제조 및 평가법을 직접 경험하면서, 의약품 생산 및 품질관리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될 것이다.

    • English

      In this lecture, we will learn about various pharmaceutical formulation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Students will experience how to manufacture and evaluate dosage forms such as emulsion, suspension, ointment, and tablet, while improving their understanding of pharmaceutical production and quality control.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에서는 여러 가지 의약품제형들과 이들의 제조방법에 대해 학습할 것이다. 학생들은 유제, 현탁제, 연고제 그리고 정제의 제조 및 평가법을 직접 경험하면서, 의약품 생산 및 품질관리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될 것이다.

  • English

    In this lecture, we will learn about various pharmaceutical formulation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Students will experience how to manufacture and evaluate dosage forms such as emulsion, suspension, ointment, and tablet, while improving their understanding of pharmaceutical production and quality control.

닫기
4/1학기 전선 4392208
약리학 (Pharmacolog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208
  • 교과목명 : 약리학 (Pharmac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약리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계통별로 약물의 종류, 작용기전, 유해효과, 약물의 상호작용에 지식을 익혀 의약품 개발에서 필요한 지식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의약품 개발시 고려해야 하는 약리와 효능에 대한 사항들을 사례를 들어가며 학습한다.

    • English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of pharmacology and learn about the types of drugs, mechanisms of action, harmful effects, and drug interactions by system to effectively acquire the knowledge necessary for drug development. Learn about the pharmacological efficacy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drugs by entering exampl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약리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계통별로 약물의 종류, 작용기전, 유해효과, 약물의 상호작용에 지식을 익혀 의약품 개발에서 필요한 지식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의약품 개발시 고려해야 하는 약리와 효능에 대한 사항들을 사례를 들어가며 학습한다.

  • English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of pharmacology and learn about the types of drugs, mechanisms of action, harmful effects, and drug interactions by system to effectively acquire the knowledge necessary for drug development. Learn about the pharmacological efficacy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drugs by entering examples.

닫기
4/1학기 전선 4392212
신경과학 (Neuroscience)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212
  • 교과목명 : 신경과학 (Neuroscie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약리 및 약물 기전의 기본이 되는 신경과학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인간의 신경과학적 이론들을 학습하여 약물이 적용되는 기전 및 응용법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신경계통의 구조와 기능, 뇌의 해부학, 신경 세포의 작동원리, 그리고 신호 전달 메커니즘을 이해하여 제약산업화에 응용 할 수 있는 지식을 얻는다.

    • English

      Understand the concepts of neuroscience, which are the basis of pharmacology and drug mechanisms, and learn human neuroscientific theories to learn the mechanisms and applications to which drugs are applied. Through this, students gain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to pharmaceutical industrialization by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nervous system, the anatomy of the brain,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nerve cells, and the signaling mechanism.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약리 및 약물 기전의 기본이 되는 신경과학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인간의 신경과학적 이론들을 학습하여 약물이 적용되는 기전 및 응용법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신경계통의 구조와 기능, 뇌의 해부학, 신경 세포의 작동원리, 그리고 신호 전달 메커니즘을 이해하여 제약산업화에 응용 할 수 있는 지식을 얻는다.

  • English

    Understand the concepts of neuroscience, which are the basis of pharmacology and drug mechanisms, and learn human neuroscientific theories to learn the mechanisms and applications to which drugs are applied. Through this, students gain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to pharmaceutical industrialization by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nervous system, the anatomy of the brain,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nerve cells, and the signaling mechanism.

닫기
4/2학기 전선 4392138
유전자치료학 (Gene Therap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38
  • 교과목명 : 유전자치료학 (Gene Therap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유전자치료학은 유전자의 기능과 작용에 대해서 다양한 측면에서 밝혀지면서, 단순히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명체들에 대한 해석에 적용하는 것에 안주하지 않고 인간에게 유익성이 있는가를 찾음으로 시작되었다. 유전자치료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확립되지 않은 부분도 존재하지만, 새로운 치료에 방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인간의 생명을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해 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 결과물이 인간의 복지와 자연에 해작용을 가능한한 축소해 주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과목을 통하여 이러한 전반에 대한 성과를 이루고자 한다.

    • English

      Gene therapy is an experimental technique that uses genes to treat or prevent disease. In the future, this technique may allow doctors to treat a disorder by inserting a gene into a patient’s cells instead of using drugs or surgery. Researchers are testing several approaches to gene therapy, including: ?Replacing a mutated gene that causes disease with a healthy copy of the gene. ?Inactivating, or “knocking out,” a mutated gene that is functioning improperly. ?Introducing a new gene into the body to help fight a disease. Although gene therapy is a promising treatment option for a number of diseases (including inherited disorders, some types of cancer, and certain viral infections), the technique remains risky and is still under study to make sure that it will be safe and effective. Gene therapy is currently being tested only for diseases that have no other cur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유전자치료학은 유전자의 기능과 작용에 대해서 다양한 측면에서 밝혀지면서, 단순히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명체들에 대한 해석에 적용하는 것에 안주하지 않고 인간에게 유익성이 있는가를 찾음으로 시작되었다. 유전자치료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확립되지 않은 부분도 존재하지만, 새로운 치료에 방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인간의 생명을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해 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 결과물이 인간의 복지와 자연에 해작용을 가능한한 축소해 주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과목을 통하여 이러한 전반에 대한 성과를 이루고자 한다.

  • English

    Gene therapy is an experimental technique that uses genes to treat or prevent disease. In the future, this technique may allow doctors to treat a disorder by inserting a gene into a patient’s cells instead of using drugs or surgery. Researchers are testing several approaches to gene therapy, including: ?Replacing a mutated gene that causes disease with a healthy copy of the gene. ?Inactivating, or “knocking out,” a mutated gene that is functioning improperly. ?Introducing a new gene into the body to help fight a disease. Although gene therapy is a promising treatment option for a number of diseases (including inherited disorders, some types of cancer, and certain viral infections), the technique remains risky and is still under study to make sure that it will be safe and effective. Gene therapy is currently being tested only for diseases that have no other cures.

닫기
4/2학기 전선 4392156
의약합성및실험 (Drug Synthesis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56
  • 교과목명 : 의약합성및실험 (Drug Synthesis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유기 반응의 메카니즘을 이해함으로써 약물합성에 필요한 C-C 결합반응 및 작용기 전환, 산화와 환원반응 등 유기반응의 기본원리를 습득한다. 그리고 약물에 포함된 생리활성 물질들의 합성전략과 응용에 대하여 배운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principles of organic reaction such as C-C bond formation, functional group conversion, oxidation and reduction which are necessary for drug synthesis by understanding mechanism of organic reaction. In addition, students will learn about synthetic strategies and applications of bioactive small molecules in drug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유기 반응의 메카니즘을 이해함으로써 약물합성에 필요한 C-C 결합반응 및 작용기 전환, 산화와 환원반응 등 유기반응의 기본원리를 습득한다. 그리고 약물에 포함된 생리활성 물질들의 합성전략과 응용에 대하여 배운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principles of organic reaction such as C-C bond formation, functional group conversion, oxidation and reduction which are necessary for drug synthesis by understanding mechanism of organic reaction. In addition, students will learn about synthetic strategies and applications of bioactive small molecules in drugs.

닫기
4/2학기 전선 4392188
영양과건강과학 (Nutrition and Health Science)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88
  • 교과목명 : 영양과건강과학 (Nutrition and Health Scie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영양과 건강과학은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해줄 뿐 아니라 체내 방어체계를 튼튼하게 하여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최상의 식사가 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식사로 얻어지는 영양분은 우리가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고 우리 몸을 구성하고, 여러 기능을 조절하여 정상적인 생활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부적절한 식사는 여러 질환의 발병과 깊은 관련이 있으므로 우리는 끊임없이 생각하고 움직이고 사랑하며 살고 있으며, 우리의 삶을 꾸려나가는 데 있어 식생활이란 여러 가지 중요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에 대한 이해를 하고 깊이 고민하여 새로운 영양의 가치와 건강을 위지하기 위한 시간을 만들고 한다.

    • English

      Health and Nutrition Technology offers programs for individuals as well as weight management programs for health care providers. Food science is the basic science and applied science of food; its scope starts at overlap with agricultural science and nutrition and leads through the scientific aspects of food safety and food processing, informing the development of food technology. Nutrition science focuses largely on dietary concerns and health issues surrounding food, eating, and medicine. It's a multi-faceted field that is rooted in chemistry, biology, and the social sciences, with many areas of specialization. Health science is the discipline of applied science which deals with human and animal health. There are two parts to health science: the study, research, and knowledge of health and the application of that knowledge to improve health, cure diseases, and understanding how humans and animals func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영양과 건강과학은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해줄 뿐 아니라 체내 방어체계를 튼튼하게 하여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최상의 식사가 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식사로 얻어지는 영양분은 우리가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고 우리 몸을 구성하고, 여러 기능을 조절하여 정상적인 생활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부적절한 식사는 여러 질환의 발병과 깊은 관련이 있으므로 우리는 끊임없이 생각하고 움직이고 사랑하며 살고 있으며, 우리의 삶을 꾸려나가는 데 있어 식생활이란 여러 가지 중요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에 대한 이해를 하고 깊이 고민하여 새로운 영양의 가치와 건강을 위지하기 위한 시간을 만들고 한다.

  • English

    Health and Nutrition Technology offers programs for individuals as well as weight management programs for health care providers. Food science is the basic science and applied science of food; its scope starts at overlap with agricultural science and nutrition and leads through the scientific aspects of food safety and food processing, informing the development of food technology. Nutrition science focuses largely on dietary concerns and health issues surrounding food, eating, and medicine. It's a multi-faceted field that is rooted in chemistry, biology, and the social sciences, with many areas of specialization. Health science is the discipline of applied science which deals with human and animal health. There are two parts to health science: the study, research, and knowledge of health and the application of that knowledge to improve health, cure diseases, and understanding how humans and animals function.

닫기
4/2학기 전선 4392190
생명건강현장실습 (Bio-health Field Training)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190
  • 교과목명 : 생명건강현장실습 (Bio-health Field Trai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4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학생들은 생명건강공학 분야 학습을 통하여 얻어진 다양한 전공지식을 기반으로 관련 분야 현장실습을 진행하고, 최근 특허와 논문을 읽고 관련된 실험설계를 바탕으로 관련 분야 현장 실무경험을 체험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함.

    • English

      Students will read the latest patents and papers related to the biomedical engineering field and experience the full process of obtaining results through relevant laboratory experiments.

    닫기
3 0 40 상세보기
  • 국문

    학생들은 생명건강공학 분야 학습을 통하여 얻어진 다양한 전공지식을 기반으로 관련 분야 현장실습을 진행하고, 최근 특허와 논문을 읽고 관련된 실험설계를 바탕으로 관련 분야 현장 실무경험을 체험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함.

  • English

    Students will read the latest patents and papers related to the biomedical engineering field and experience the full process of obtaining results through relevant laboratory experiments.

닫기
4/2학기 전선 4392213
생물의약품학 (Biopharmaceuticals)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213
  • 교과목명 : 생물의약품학 (Biopharmaceutical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최근 바이오시밀러와 항체의약품 등 바이오의약품의 개발이 가속화됨에 따라 생물의약품에 대한 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발맞추어, 본 강좌에서는 생물의약품의 개발 및 생산을 위한 품질관리시스템에 대해 학습할 것이다. 또한, 여러 생물의약품의 생산 및 품질관리를 위해 주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에 대해서도 다룰 예정이다.

    • English

      As the developments of biopharmaceuticals such as biosimilars and antibody drugs has recently accelerated,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is growing significantly. Keeping pace with this trend, in this course, you will learn about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biologics. In addition, we will deal with major considerations for production and quality control of various biologic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최근 바이오시밀러와 항체의약품 등 바이오의약품의 개발이 가속화됨에 따라 생물의약품에 대한 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발맞추어, 본 강좌에서는 생물의약품의 개발 및 생산을 위한 품질관리시스템에 대해 학습할 것이다. 또한, 여러 생물의약품의 생산 및 품질관리를 위해 주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에 대해서도 다룰 예정이다.

  • English

    As the developments of biopharmaceuticals such as biosimilars and antibody drugs has recently accelerated,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is growing significantly. Keeping pace with this trend, in this course, you will learn about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biologics. In addition, we will deal with major considerations for production and quality control of various biologics.

닫기
4/2학기 전선 4392217
약전및품질관리 (Drug Pharmacopoeia and Good Manufacturing Practice)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2217
  • 교과목명 : 약전및품질관리 (Drug Pharmacopoeia and Good Manufacturing Practi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전공과 과학적 배경지식을 가진 학생들로 하여금 의약품 제조에 있어 현행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인 GMP에 기초한 의약품이 허가받을 수 있는 규정과 절차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의약품의 유효성과 안전성 및 품질관리, 품질보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입증하기 위한 다양한 품질관리 분석기법, 시료채취원리, 분석방법에 대한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파라미터, 성능기준 및 안정성 등을 사용하는지를 익히는데 그 초점을 맞춥니다. 학생들은 의약품을 제조하는 공정에서의 품질보증 원칙을 인식할 수 있고 다양한 원료의약품에 대한 평가와 표준화를 위한 방법을 설계할 수 있으며 제약에 필요한 장비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습니다.

    • English

      To ensure students from varied and appropriate scientific backgrounds arrive at a common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by which pharmaceutical products are regulated, and on which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modules will build.Giving the principles of pharmaceutical quality control and quality assurance of pharmaceutical products as well as teaching students how to apply the principles of good sampling before applying different analytical techniques. Explanation to students how to develop an analytical control laboratory. Applying, measuring, evaluating, validation parameters, stability testing and performance criteria for an analytical method.At the end of this course, student should be able to 1. Identify the principles of quality assurance of pharmaceutical processes, 2. Design appropriate methods for evaluation and standardization of various pharmaceutical compounds, 3. Manipulate pharmaceutical instruments and equipments safely and efficiently in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process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전공과 과학적 배경지식을 가진 학생들로 하여금 의약품 제조에 있어 현행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인 GMP에 기초한 의약품이 허가받을 수 있는 규정과 절차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의약품의 유효성과 안전성 및 품질관리, 품질보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입증하기 위한 다양한 품질관리 분석기법, 시료채취원리, 분석방법에 대한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파라미터, 성능기준 및 안정성 등을 사용하는지를 익히는데 그 초점을 맞춥니다. 학생들은 의약품을 제조하는 공정에서의 품질보증 원칙을 인식할 수 있고 다양한 원료의약품에 대한 평가와 표준화를 위한 방법을 설계할 수 있으며 제약에 필요한 장비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습니다.

  • English

    To ensure students from varied and appropriate scientific backgrounds arrive at a common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by which pharmaceutical products are regulated, and on which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modules will build.Giving the principles of pharmaceutical quality control and quality assurance of pharmaceutical products as well as teaching students how to apply the principles of good sampling before applying different analytical techniques. Explanation to students how to develop an analytical control laboratory. Applying, measuring, evaluating, validation parameters, stability testing and performance criteria for an analytical method.At the end of this course, student should be able to 1. Identify the principles of quality assurance of pharmaceutical processes, 2. Design appropriate methods for evaluation and standardization of various pharmaceutical compounds, 3. Manipulate pharmaceutical instruments and equipments safely and efficiently in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processes.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